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유술월
- 기토 운
- 진중 을목
- 지장간 재성의 의미
- 인묘월
- 재격이란
- 자축월
- 해중 갑목
- 신유월
- 재성이 지지에 있을때
- 갑진년 기사월 병정화
- 사오월
- 갑진년 기사월 경신금
- 경금일간의 묘월 인월
- 암장된 토
- 묘진월
- 무토 운
- 갑진년 기사월 무기토
- 미중 을목
- 재성이 지장간에 있을때
- 재성이란
- 무기토는 감지능력
- 천간의 토
- 해자월
- 재성이 천간에 투간되었을때
- 갑진년 기사월 갑을목
- 무기토 인식작용
- 오미월
- 갑진년 기사월 임계수
- 재성의 위치에 따른 해석
- Today
- Total
명리일지
천간합 본문
천간합에 대해서 알아보자. 천간합은 음일간이 양일간하고 합하는 것은 관합이라고 하고,
반대로 양일간이 음일간을 합하는 것을 재합이라고 한다.
합한다는 의미는 "서로 합의하다, 협의하다"라는 뜻이다.
일간의 관합과 재합의 통변
일간이 관합이 들었다는 이야기는 "내가 공적인물로 상대방한테 자꾸만 어필한다"라는 뜻이다.
일간이 재합이 든 것은 "작은 것에 치우치다"라고 얘기하고 스스로 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뜻이다.
스스로 난 문제없이 잘 하고 있어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음일간의 관합은 공적인물이 되려는 조금 확장적 의미라면
양일간의 재합은 약간 축소적인 관점, 사사로워진다는 의미다.
그래서 관합은 실제적인 자기의 모습 자체는 작은데 남들에게 조금 부풀려져 어필되는 모습이며
재합은 소탐대실한다는 것으로 작은 걸 얻기 위해 큰 걸 잃는다고 본다.
합의 유정
X 辛 丙 己
X 巳 午 X
관인 병화와 합을 했는데 관이 병화의 세력이 왕하다.
이렇게 관이 왕한 것에 일간이 합이 된 것이니 남들에게 더 크게 어필 된 것.
실제적인 나는 작은데, 남들이 항상 크게 봐준다는 얘기.
세력이 큰 관과 합을 했기에 합력이 강하다고 이야기한다.
합력이 강하니 병화입장에서 辛금을 가져다 쓰는 것
합의 무정
X 辛 丙 己
X 酉 午 X
일간 辛금의 힘과 관의 힘이 비슷하면 합이 유정하다고 한다.
합력이 느슨해진 것.
병화라는 관도 왕하고 일간도 왕하니 건물과 건물 사이에 다리를 놓은 것만큼 합이 됐다는 뜻
X 辛 丙 己
X 酉 申 X
이렇게 일간 금의 세력이 왕해진 상태에서 운에서 사화나 오화가 들어오면 병화도 힘을 갖게 된다.
그럼 병화의 경우'내가 손해본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합력 느슨해진다.
즉, 우리가 보통 10년 전에 20년 전에 협의된 것이 부당하다! 다시 재협상하자~
이렇게 재협상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운에서 신유술같은 것이 오게 되면 일간이 더 왕해졌으니 일간 중심으로 합을 이끌어간다.
이럴때 병화 관은 어떤 조항도 내세울 수가 없으며 그냥 무조건 따라야 한다.
합에 대한 비중은 운에서 어떻게 비툴려지는가를 보고 불만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천간합 종류
갑기甲己합
갑기합은 대개 종교적이다.
종교단체라든가 교육적인 단체라든가 하나의 깨달음에 관여하는 그런 환경과의 교류를 이야기한다.
큰 스님과 신도와의 관계가 갑기합이다.
보통 甲이라는 것은 끝없이 배우기를 원하며 자기 갖춤과 교양을 끝없이 추구한다.
갑기합에서 갑은 수행자적인 기질이 있어서 갑기합하는 모습을 대개 수행자적인 교류를 하다라고 이해하면 된다.
을경乙庚합
을경합 같은 경우 사람의 교류가 대개 직장계통에서 만날 확률이 높다.
경금이라고 하는 것은 보통 직장에서 능숙한 사람을 말하며 을목은 신입사원과도 같다.
그래서 을경합은 신입사원과 만년 부장하고의 관계이다.
직업적인 관계 뿐 아니라 취미적인 교류라고 해도 능숙한 사람과 초보자하고의 관계라고 볼 수 있다.
병신丙辛합
병신합의 관계는 직장상사와 부하와의 관계와 비슷하다.
병신합에서 병화가 원하는 것은 상대를 통해 위안을 갖고자 만나는 것이고,
辛금은 상대한테 물질적 혜택을 받고자 하는 기질이 좀 크다.
병신합의 시작은 긍정적이지만 나중에 약간의 보상 문제와 항상 결부되고
결국 불편한 관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항상 염두해둬야한다.
즉, 병신합은 약간 조건부적 만남이 되는 것이다.
무계戊癸합
무계합은 환자하고 의사와의 관계와 같다.
큰 틀에서는 신분의 상대적 차이를 말하는 것이며, 덩치차이, 나이차이가 많이 나는 그런 특징이 무계합이다.
정임丁壬합
정임합을 보통 음란지합이라고들 많이 이야기하는데, 대개 취미적인 환경에서의 만남을 많이 한다.
회포를 푸는 만남. 정이라는 것은 참고 참았던 욕정, 욕망을 임수를 봐서 그 욕정, 욕망을 풀다라과 이야기한다.
정화라는 것이 화기를 분출시켜야 하는데 참고 참았다는 뜻이고
임수가 그 속을 알앙서 네가 참고 참았던 걸 알아준다로 해석할 수 있다.
그 속사정을 알아줘서 달콤하게 해주니까 내 입맛에 딱 붙게 해주니 철썩 붙는 것이다.
정임합은 시작해서 오래가는 형태는 아니다. 다소 불장난적인 기질이고 오래가지 않고 정리되는 특성이 있다.
사주 원국에 천간합이 많다는 것은 어지간하면 상대에게 맞춰가다라는 뜻이다.
반대로 합이 아니라 극으로 되어 있으면 서로 동등하게 맞서서 필요한 만큼만 묻고 답하는 거래라고 보면 된다.
합이 많이 되어있는 사람들은 상대방한테 굽신굽신 맞춰려고 하고
천간에 상극이 되어있으면 "맞춰도 될까요?"라고 정확히 묻고 하는 것이다.
'명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성의 해석 (2) | 2024.05.17 |
---|---|
지지 재성의 해석 (0) | 2024.05.13 |
정관격에 정인과 정재의 역할 (0) | 2024.05.13 |
무기토의 인식작용 (0) | 2024.05.10 |